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머신러닝 #ml #미분 #기본기
- ml
- 지니불순도
- 상호 배제
- 다항회귀
- 경쟁 조건
- JetBrains
- 머신러닝 #ml #기본기
- Java
- 속성중요도
- gridsearch
- cross_val_score
- featurescaling
- 운영체제
- db
- 디자인 패턴 #싱글톤
- 에다 부스트
- Kotlin
- 결정트리
- bootstrapping
- 코틀린
- Mutex lock
- 11049
- featureimportances
- Mutual exclusion
- ML
- jdk #javac #jre #java standard library #javadoc #jar #java
- 멀티 프로그래밍
- min-max
- 머신러닝 #ml #선형대수학 #기본기
- Today
- Total
코딩하는 오리
[ML] 머신 러닝 기본기 - 3. 미분 필요한 만큼만 배우기 본문
01. 함수
f(x) = 2x+6
y는 x에 대한 함수
하나의 input 값에 대해서 반드시 하나의 output 값 존재할 경우
다변수 함수
f(x,y) = x+2y
현실 세계에서의 함수
d = 60t : 시속 60km달리는 차가 몇키로 달리는지
BMI = 몸무게 / (키*키)
02. 그래프
수학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
y=3x+6
03. 평균 변화율
기울기 : x가 변화할 때, y는 얼마나 빠르게 변화하는지
특정 지점에서의 기울기 : 순간 변화율
평균 변화율
f(b) - f(a) / (b-a)
f'(a) = f(a+h)-f(a) / ((a+h)-a)
한 그래프 내에서도 구간에 따라 평균 변화율 다름
04. 순간 변화율
평균변화율에 limit 적용한 결과
05. 미분
f(x) = x^2+2x+1
f'(x) = 2x+2
07. 가장 가파른 방향 (2차원)
기울기가 음수 : x가 커질수록 y가 작아짐
기울기가 양수 : x가 커질수록 y가 커짐
어떤 방향으로 가야 가장 가파르게 올라갈 수 있는지
그래프가 해당 지점에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
09. 극소점, 극대점
순간변화율이 양수/음수
순간변화율이 0 : 3가지
- 극소점(아래로 볼록) (local minimum): 왼쪽으로는 기울기 음수, 오른쪽으로는 기울기 양수. 극소점 여러 개 가능
- 최소점 (global minimum): 극소점들 중 가장 y값이 작은 값
- 극대점(위로 볼록) (local maximum): 왼쪽으로는 기울기 양수, 극대점 여러 개 가능
- 최대점 (global maximum) : 극대점들 중 가장 y값이 큰 값
- 안장점(saddle point) : 기울기가 계속 증가 또는 계속 감소
11. 고차원에서 미분
다변수 함수의 미분
input 변수가 여러 개(x,y) output 변수(z)
f(x,y) = x^2+2y^2
편미분 : 함수를 변수 하나에 대해서만 미분(미분하는 변수 외 나머지 변수는 상수 취급)
변수 x에 대해서만 또는 변수 y에 대해수만
x에 대해 편미분 : 2x
y에 대해 편미분 : 4y
두 결과를 합친 것을 벡터로 만들어본다
x를 1로 고정시켰을 때 남은 변수는 y이며, 그 값에 1을 대입하면 4
y를 1로 고정시켰을 때 남은 변수는 x이며, 그 값에 1을 대입하면 2
13. 가장 가파른 방향 (고차원)
고차원 그래프에서도 기울기(벡터)가 가장 가파른 방향을 알려줄 수 있다
가장 가파르게 내려가고 싶다면 가장 가파른 방향에서 - 붙이기
15. 머신 러닝에 미분이 필요한 이유
순간변화율은 의미있는 정보.
함수의 최소 지점, 함수의 최대 지점, 증가 여부 등
머신러닝은 경험을 통해 특정 작업에 대한 성능이 좋아진다.
성능을 어떻게 평가, 어떻게 최적화 ?
특정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함수가 있을 경우, 모델의 최소점(극소점)을 찾아서 성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..
'AI > 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L] 기본 지도 학습 알고리즘들 - 3. 다항 회귀 (Polynomial Regression) (0) | 2024.07.30 |
---|---|
[ML] 기본 지도 학습 알고리즘들 - 2. 다중 선형 회귀(Multiple Linear Regression) (0) | 2024.07.29 |
[ML] 기본 지도 학습 알고리즘들 - 1. 선형 회귀(Linear Regression) (0) | 2024.07.27 |
[ML] 머신 러닝 기본기 - 2. 선형대수학 필요한 만큼만 배우기 (0) | 2024.07.21 |
[ML] 머신 러닝 기본기 - 1. 머신러닝이란? (0) | 2024.07.12 |